?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한국 교육선구자 헐버트선교사’(1)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헐버트는 한국의 은인이요, 한국 사람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으로 칭송받는 인물입니다. 헐버트는 1863126일 미국 버몬트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884년 다트마우스 대학을 졸업하고, 유니온 신학교 재학 중(23) 18867월에 육영공원 영어교사로 조선에 입국했습니다.

조선의 근대식 첫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은 1886923일에 개원하였습니다. 국가 개혁 정책에 필요한 신지식에 능통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육영공원을 개원했으나 소수의 양반 자제의 관직 진출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등 파행적인 운영 에 성과를 얻지 못하고 1894년 폐원되었습니다. 그래서 헐버트는 5년 동안 교사 생활을 하다가 학교가 부정부패로 문을 닫자 미국으로 귀국했다가, 18939월에 감리교 선교사로 다시 한국에 오게 되었습니다. 선교사로 다시 입국한 헐버트는 배재학당의 삼문출판사를 중심으로 문서선교에 힘썼고, 다양한 주제로 한국에 관한 글들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1903년에 창설된 한국 YMCA의 초대회장을 맡아 활동했습니다.

헐버트는 고종의 외교 고문으로 독립을 위해 힘쓴 애국자이기도 합니다. 일본이 을사늑약으로 한국의 외교권과 재정권을 강제로 빼앗기 바로 직전, 고종은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외교적인 도움을 요청하기 위하여 헐버트를 밀사로 파견했습니다. 그 당시 불행하게도 미국과 일본은 이른바 '가츠라태프트 밀약'을 맺고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이권 보장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야망을 서로 묵인한 상태였습니다. 아직 그 사실을 모르던 고종은 1882년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 제1(쌍방 중 어느 한 나라가 제3국에 의해서 침략을 당할 경우 다른 한 나라는 이에 간섭해서 우호적으로 사태를 해결해 줘야 한다)를 근거를 그대로 믿고 밀사를 파견했던 것입니다.

 

결국 헐버트친일 인사들로 구성된 미국 정부고종의 밀서를 접수도 하지 못했고, 한국과의 신의를 저버린 자신의 조국을 원망하면서 돌아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 당시 우리나라가 외교력을 발휘할만한 힘이 조금도 없어 무시당한 결과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