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한국 사람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사람 헐버트선교사’(2)

 

1905년 일본의 을사늑약 때문에 미국 대통령에게 외교적인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밀서를 보냈지만, 미국의 친일파들의 훼방으로 밀서를 접수조차도 못했습니다.

그러나 헐버트 선교사는 포기하지 않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에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는 외교적인 통로로 활용하자고 고종을 설득하여 1907년에 네덜란드의 헤이그에 이준을 비롯한 세 사람의 밀사를 파견했습니다. 헐버트 선교사 자신도 헤이그에 가서 유럽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우리나라 독립의 정당성을 호소했지만, 거기서도 일본의 압력으로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19098월 강제로 퇴위당한 고종으로부터 해외 독립운동을 돕기 위해서 상하이 독일계 은행에 예치한 25만 달러 상당의 비자금을 찾아서 안전한 은행으로 옮겨 달라는 밀명을 받았지만, 일본의 간계로 결국 그것조차도 다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미국으로 돌아간 헐버트는 순회강연과, 신문 기고로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국의 독립을 주장했고, 루즈벨트의 정책을 비판하며 우리나라를 돕는 일에 힘썼습니다.

헐버트는 광복 후 이승만 대통령의 초청으로 86세의 노구를 이끌고 방한했지만, 고령의 여독을 이기지 못하고 일주일 만에(194985) 사명을 다하고,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그는 한국에 오는 배편에서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에 묻히고 싶다."는 유언을 남겼고, 그의 유언에 따라 양화진에 안장되었습니다. 그는 오늘날까지 한국 사람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선교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이 묘비명을 써주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못하여 이름이 비어 있던 묘비는 50년이 지난 1999년에 헐버트 기념사업회 위원장 정용호가 청와대에 청원하여 199985일 김대중 대통령친필로 '헐버트 박사의 묘' 라고 새겼습니다.

 

헐버트 선교사는 한글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종에게 건의해서 국문연구소를 만들었고, 주시경 선생님과 함께 한글 표기에 띄어쓰기, 쉼표, 마침표 등 점찍기 등을 도입해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2014109일 한글날에 그 공로를 인정하여 그의 증손자가 행사에 참여하여 금관 문화 훈장을 받았습니다.